문화예술
강진과 영랑 김윤식
영랑(永郞) 김윤식(金允植, 1903. 1. 16 ~ 1950. 9. 29)은 전남 강진군 강진읍 남성리 211번지에서 부친 김종호와 모친 김경무 사이에 3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15년 3월 강진보통학교를 졸업한 그는 이듬해 상경하여 기독청년회관에서 영어를 수학한 후 휘문의숙에 진학하였다.
휘문의숙 재학시절이던 1919년 3월 1일 기미독립운동이 일어나자 영랑은 자신의 구두 안창에 독립선언문을 숨겨 넣고 강진에 내려와 독립운동(강진 4.4운동)을 주도하다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대구형무소 등에서 6개월간의 옥고를 치렀다. 1920년 일본으로 건너가 청산학원(靑山學院)에서 수학한 그는 용아 박용철 등과 친교를 맺었다.
1923년 관동 대지진으로 학업을 중단하고 귀국한 후에는 시 창작활동에 몰두하였다. 영랑은 1930년 3월 창간한 『시문학』지를 중심으로 박용철, 정지용, 이하윤, 정인보, 변영로, 김현구, 신석정, 허보 등 당대 최고의 시인과 더불어 우리 현대시의 새 장을 열었다. 1934년 4월 『문학』지 제3호에 불후의 명작 「모란이 피기까지는」을 발표하였으며, 1935년 『영랑시집』을, 1949년에는 『영랑시선』을 출간하였다.
영랑은 조국 해방이 이루어질 때까지 창씨개명과 신사참배 및 삭발령을 거부한 채 흠결 없는 대조선인으로 의롭게 살았다. 광복 후 신생 정부에 참여해 공보처 출판국장을 지냈던 그는 1950년 한국전쟁 때 부상당하여 9월 29일 서울 자택에서 47세를 일기로 타계하였다. 영랑은 생애 86편의 시를 남겼으며, 정부에서 2008년 금관문화훈장을 추서하였다.
한편, 현재의 영랑생가는 1948년 선생이 서울로 이사한 후 몇 차례 전매되었으나 1985년 12월 강진군이 매입, 1986년 2월 전라남도 지방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2007년 10월 국가지정문화재로 승격되었다.
영랑 김윤식 작품연표
작품명 | 발표지/연대 | 작품명 | 발표지/연대 |
동백잎에 빛나는 마음 | 시문학(詩文學)1호 1930.03. | 왼몸을 감도는 | 영랑시집 1935 |
어덕에 바로 누어 | 시문학(詩文學)1호 1930.03. | 생각하면 붓그러운 일이여라 | 영랑시집 1935 |
누이 마음아 나를 보아라 | 시문학(詩文學)1호 1930.03. | 그대는 호령도 하실만하다 | 영랑시집 1935 |
뵈지도 않는 입김의 | 시문학(詩文學)1호 1930.03. | 아파누어 혼자 비노라 | 영랑시집 1935 |
님 주시고 가는 길의 | 시문학(詩文學)1호 1930.03. | 물보면 흐르고 | 영랑시집 1935 |
문허진 성터에 | 시문학(詩文學)1호 1930.03. | 降仙臺 돌바늘 끝에 | 영랑시집 1935 |
져녁 때 져녁 때 | 시문학(詩文學)1호 1930.03. | 사개 틀닌 고풍의 툇마루에 | 영랑시집 1935 |
풀우에 매져지는 | 시문학(詩文學)1호 1930.05. | 마당앞 맑은 새암을 | 영랑시집 1935 |
푸른 향물 흘러버린 | 시문학(詩文學)1호 1930.05. | 황홀한 달빛 | 영랑시집 1935 |
좁은 길가에 무덤이 하나 | 시문학(詩文學)1호 1930.05. | 杜鵑 | 영랑시집 1935 |
除夜 | 시문학(詩文學)1호 1930.05. | 淸明 | 영랑시집 1935 |
쓸쓸한 뫼아페 | 시문학(詩文學)1호 1930.05. | 거문고 | 조광5권1호 1939.05. |
원망 | 시문학(詩文學)1호 1930.05. | 가야금 | 조광5권1호 1939.01. |
내마음 고요히 고흔봄 길우에 | 시문학(詩文學)2호 1930.05. | 달마지 | 여성4권4호 1939.05. |
꿈 바케 봄마음 | 시문학(詩文學)2호 1930.05. | 연Ⅰ | 여성4권5호 1939.05. |
허리띄 매는 새악시 | 시문학(詩文學)2호 1930.05. | 五月 | 문장1권6호 1939.07. |
못오실 님이 | 시문학(詩文學)2호 1930.05. | 毒을 차고 | 문장1권10호 1939.11. |
다정히도 부러오는 | 시문학(詩文學)2호 1930.05. | 墓碑銘 | 조광5권12호 1939.12. |
향내 없다고 | 시문학(詩文學)2호 1930.05. | 한줌 흙 | 조광6권3호 1940.03. |
어덕에 누워 | 시문학(詩文學)2호 1930.05. | 江 물 | 여성5권4호 1939.04. |
가늘한 내음 | 시문학(詩文學)2호 1930.05. | 호젓한 노래 | 여성5권6호 1940.06. |
하날갓 다은데 | 시문학(詩文學)2호 1930.05. | 偶感 | 조광6권6호 1940.06. |
내마음을 아실이 | 시문학(詩文學)3호 1930.10. | 春香 | 문장2권7호 1940.07. |
밤ㅅ사람 그립고야 | 시문학(詩文學)3호 1940.08. | 집 | 인문평론 1940.08. |
눈물속 빛나는 보람과 | 시문학(詩文學)3호 1930.10. | 북 | 동아일보 1946.12.10 |
빈 포켓트에 손 찌르고 | 시문학(詩文學)3호 1930.10. | 바다로 가자 | 민중일보 1947.08.07 |
바람에 나붓기는 깔닙 | 시문학(詩文學)3호 1930.10. | 놓인 마음 | 신천시3권9호 1948.10. |
뻘은 가슴을 훤히 벗고 | 시문학(詩文學)3호 1930.10. | 새벽이 處形場 | 동아일보 1948.11.14 |
시내ㅅ물소리 | 시문학(詩文學)3호 1930.10. | 絶望 | 동아일보 1948.11.16 |
그밧게 더 아실이 | 문학1호 1934.01. | 겨레의 새해 | 동아일보 1949.01.06 |
밤이면 고총아래 | 문학1호 1934.01. | 연 Ⅱ | 백민17호 1949.01. |
저 곡조만 마조 | 문학1호 1934.01. | 忘却 | 신천지4권8호 1949.08. |
산ㅅ골을 노리터로 | 문학1호 1934.01. | 발짓 | 민성5권8호 1949.08. |
사랑은 기프기 푸른하날 | 문학1호 1934.01. | 感激 八 ·一五 | 서울신문 1949.08.15 |
빠른 철로에 조는 손님아 | 문학1호 1934.01. | 五月아츰 | 문예1권2호 1949.09. |
佛地菴 抒情 | 문학2호 1934.02. | 行軍 | 민족문화1권1호 1949.10. |
모란이 피기까지는 | 문학3호 1934.04. | 수풀아래 작은 샘 | 영랑시선 1949. |
뉘 눈결에 쏘이엿소 | 영랑시집 1935 | 언 - 땅 한길 | 영랑시선 1949. |
눈물에 실려가면 | 영랑시집 1935 | 池畔追憶 | 민족문화2호 1950.02. |
숩향기 숨길을 가로막엇소 | 영랑시집 1935 | 千里를 올라온다 | 백민21호 1950.03. |
그 색시 서럽다 | 영랑시집 1935 | 어느 날 어느 때고 | 민성6권3호 1950.03. |
떠날러가는 마음의 | 영랑시집 1935 | 五月 恨 | 신천지5권6호 1959.06. |
미움이란 말속에 | 영랑시집 1935 |
영랑 김윤식과 시문학파
1930년대 창간된 시전문지 『시문학』 을 중심으로 순수시 운동을 주도했던 시인들을 시문학파라고 한다. 시 문학파의 핵심인물은 용아 박용철과 영랑 김윤식이며, 여기에 정지용, 위당 정인보, 연포 이하윤의 참여로 창간호가 발간되었고, 뒤이어 수주 변영로ㆍ김현구가 제2호에, 신석정ㆍ허 보가 제3호에 동참하였다. 『시문학』은 1930년 3월 5일 창간하여 그해 5월 20일 제2호, 1931년 10월 10일 제3호를 끝으로 종간되었다. 하지만, 당시에 풍미했던 카프문학과 감각적 모더니즘에 휩쓸리지 않은 채 이 땅에 순수문학의 뿌리를 내리게 한 모태가 되었다.
시문학파 시인과 대표작
영랑 김윤식(永郞 金允植)
1903.01.16 ~ 1950.09.29
47세 타계
- 1919년 동인지 『청구』 발간
- 1930년 『시문학』 창간
- 1935년 시집 『영랑시집』 간행
- 1948년 공보처 출판국장
- 1949년 시선집 『영랑시선』 간행
모란이 피기까지는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다리고 있을 테요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움에 잠길 테요
오월 어느 날 그 하루 무덥던 날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
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
뻗쳐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느니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삼백 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내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용아 박용철(龍兒 朴龍喆)
1904.06.21 ~ 1938.05.12
34세 타계
- 1930년 『시문학』 창간
- 1931년 『문예월간』 창간
- 1934년 『문학』 창간
- 1934년 『극예술』 창간
- 1939년 시문집 『박용철 전집』 간행
떠나가는 배
나 두 야 간다.
나의 이 젊은 나이를
눈물로야 보낼거냐
나 두 야 가련다.
아늑한 이 항군들 손쉽게야 버릴거냐
안개같이 물어린 눈에도 비치나니
골짜기마다 발에 익은 묏부리 모양
주름살도 눈에 익은 아, 사랑하던 사람들
버리고 가는 이도 못 잊는 마음
쫓겨가는 마음인들 무어 다를거냐
돌아다보는 구름에는 바람이 희살짓는다.
앞 대일 언덕인들 마련이나 있을거냐.
나 두 야 가련다.
나의 이 젊은 나이를
눈물로야 보낼거냐
나 두 야 간다.
정지용(鄭芝溶)
1902.05.15 ~ 1950
납북
- 1923년 동인지 『요람』 발간
- 1935년 시집 『정지용 시집』 간행
- 1941년 시집 『백록담』 간행
- 1945년 경향신문 편집국장, 이화여전 교수
- 1946년 시선집 『지용시선』 간행
- 1950년 납북
향 수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절대는 실개천이 회돌아 나가고,
얼룩백이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ㅡ 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비인 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
엷은 졸음에 겨운 늙으신 아버지가
짚 베개를 돋아 고이시는 곳,
ㅡ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흙에서 자란 내 마음
파아란 하늘빛이 그리워
함부로 쏜 화살을 찾으러
풀섶 이슬에 함추름 휘적시던 곳,
ㅡ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전설 바다에 춤추는 밤물결 같은
검은 귀밑머리 날리는 어린 누이와
아무렇지도 않고 예쁠 것도 없는 사철 발 벗은 아내가
따가운 햇살을 등에 지고 이삭 줍던 곳
ㅡ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하늘에는 섞은 별
알 수도 없는 모래성으로 발을 옮기고,
서리 까마귀 우지짖고 지나가는 초라한 지붕,
흐릿한 불빛에 돌아앉어 도란도란거리는 곳,
ㅡ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위당 정인보(爲堂 鄭寅普)
1893.05.06 ~ 1950
납북
- 1931년 『조선고전해제』 발간
- 1933년 『양명학연론』 발간
- 1945년 국학대학 초대 학장
- 1948년 초대 감찰위원장
- 1950년 납북
광복절 노래
1.
흙 다시 만져보자
바닷물도 춤을 춘다
기어이 보시려던
어른님 벗님 어찌하리
이 날이 사십년
뜨거운 피 엉긴 자취니
길이길이 지키세
길이길이 지키세
2.
꿈엔들 잊을건가
지난 일을 잊을건가
다같이 복을 심어
잘 가꿔 길러 하늘 닿게
세계의 보람될
거룩한 빛 예서 나리니
힘써 힘써 나가세
힘써 힘써 나가세
연포 이하윤(蓮圃 異河潤)
1906.04.09 ~ 1974.03.12
68세 타계
- 1926년 시 『읽어버린 무덤』 발표
- 1927년 『해외문학』 창간
- 1933년 번역시집 『실향의 화원』 발간
- 1939년 시집 『물레방아』 발간
- 1971년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물레방아
끝없이 동라가는 물레방아 바퀴에
한 잎씩 한 잎씩 이 내 추억을 걸면
물 속에 잠겼다 나왔다 돌 때
한없는 뭇 기억이 잎잎이 나붙네
바퀴는 돌고 돌며 소리치는데
마음 속은 지나간 옛날을 찾아가
눈물과 한숨만을 자아내 누노니
............
나이 많은 방아지기 하얀 머리에
힘없는 시선은 무엇을 찾는지-
확 속이다! 공잇소리, 찧을 적마다
강물은 쉬지 않고 흘러 내리네.
수주 변영로(樹州 卞榮魯)
1897.05.09 ~ 1961.03.14
64세 타계
- 1920년 『폐허』 동인
- 1924년 시집 『조선의 마음』 발간
- 1950년 해군사관학교 교수
- 1953년 『대한공론』사 이사장
- 1959년 시문집 『수주시문선』 발간
논개
거룩한 분노(憤怒)는
종교(宗敎)보다도 깊고
불붙는 정열(情熱)은
사랑보다도 강하다.
아! 강낭콩 꽃보다도 더 푸른
그 물결 위에
양귀비꽃보다도 더 붉은
그 마음 흘러라.
아리땁던 그 아미(蛾眉)
높게 흔들리우며
그 석류(石榴) 속 같은 입술
죽음을 입맞추었네!
아! 강낭콩 꽃보다도 더 붉은
그 마음 흘러라.
흐르는 강물은
길이길이 푸르리니
그대의 꽃다운 혼(魂)
어이 아니 붉으랴.
아! 강낭콩 꽃보다도 더 푸른
그 물결 위에
양귀비꽃보다도 더 붉은
그 마음 흘러라.
김현구(金玄鳩)
1903.11.30 ~ 1950.10.03
47세 타계
- 1919년 문학동인지 『청구』에 참여
- 1930년 『시문학』 제 2호 참여
- 1931년 『문예월간』에 시 발표
- 1933년 『문학』에 시 발표
- 1970년 유교집 『현구 시집』 간행
님이여 강물이 몹시도 퍼렀습니다
한숨에도 불려갈듯 보-하니 떠있는
은빛 아지랑이 깨어 흐른 머언 산둘레
구비 구비 놓인 길은 하얗게 빛납니다
님이여 강물이 몹시도 퍼렀습니다
헤어진 섬돌에 떨든 햇살도 사라지고
밤빛이 어슴어슴 들우에 깔리여갑니다
훗훗달른 이 얼골 식혀줄 바람도 없는 것을
님이여 가이 없는 나의마음을 아르십니까
신석정(辛夕汀)
1907.07.07 ~ 1974.07.06
67세 타계
- 1931년 『시문학』 제 3호 참여
- 1939년 시집 『촛불』 간행
- 1947년 시집 『슬픈 목가』 간행
- 1956년 시집 『빙하』 간행
- 1967년 시집 『산의 서곡』 간행
임께서 부르시면
임께서 부르시면
가을날 노랗게 물들인 은행잎이
바람에 흔들려 휘날리듯이
그렇게 가오리다
임께서 부르시면
호수에 안개 끼어 자욱한 밤에
말없이 재 넘는 초승달처럼
그렇게 가오리다
임께서 부르시면···.
허보(許保)
생물연대 미상
- 본 호세이대학 영문학과 출신 추정
- 1931년 『조선일보』에 시 발표
- 1931년 『시문학』 제 3호 참여
- 1939년 『조광』 등에 시 발표
검은 밤
검은 밤이 돌아와
염려 없이 넘던 산을 거닐던 뜰을
다시 한 번 조심스럽게 더듬어 걸어갑니다
한 생각에 눌리었던 마음에
진정할 수 없는 무엇이 떠올라
적확한 표현의 길을 찾으러
다시 한 번 조심스럽게 더듬어 걸어갑니다
물론 기회를 잃어 약자 된 모든 이에게
밤이여! 아편 같은 잠을 주어서는 아니 됩니다
산모의 괴로움을 맛보지 않고는
새로운 생각이 탄생할 새벽은
영구히 오지 않을 것입니다
낮에 찾은 진리를 검은 밤이여
지워버리소서 우리를 반성케 하소서
우리를 미치게 하는 것은 懷疑가 아니라
돌과 같은 움직일 수 없는 사실입니다
우리에게 인생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주소서
영랑 김윤식 관련 관람시설
■ 관람시간 : 09:00 ~ 18:00
■ 휴관일 : 연중무휴
■ 전화 : 061-430-3185
■ 관람료 : 무료
■ 관람시간 : 09:00 ~ 18:00
■ 휴관일 : 1월 1일, 설 연휴, 추석 연휴
■ 전화 : 061-430-3186
■ 관람료 : 무료
■ 관람시간 : 24시간 개방 (점등시간 08:00~22:00)
■ 휴관일 : 연중무휴
■ 전화 : 061-430-3362
■ 관람료 : 무료